Yoast SEO 사용법: 최고의 워드프레스 SEO 플러그인

Yoast SEO 란?

Yoast SEO는 워드프레스의 플러그인으로,
검색엔진 최적화 (SEO)를 도와주는 플러그인입니다. 

많은 기능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무료 버전도 좋은기능이 많아,
가장 널리 쓰이는 워드프레스 SEO 플러그인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Yoast SEO 사용법과, 웹사이트와 블로그에 최적화된 설정법을 알아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Yoast SEO 의 테크니컬 검색엔진 최적화 (Technical SEO) 설정

Yoast SEO 플러그인의 설치는,
다른 플러그인들과 마찬가지로, 플러그인 (Plugin) -> 새로 추가 (Add New) 에서,
Yoast SEO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Yoast SEO 플러그인 설치

그리고 General -> First-time configuration 으로 가서,
나와있는 순서대로 진행합니다.

 

첫번째, SEO Optimization 에서는, 자동으로 Google 이 웹사이트의 페이지들을,
Index하는데 문제가 없는지 체크해줍니다.

 

두번째, Site representation 에서는, 웹사이트 이름, 로고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Social Profiles 에서는 Company 가 아닌 개인 웹사이트의 경우,
Social profile을 설정할 수 있게 해주고,

네번째, Persoanl Preferences에서는 Yoast SEO가 데이터를 공유받아서,
플러그인 발전에 쓸 수 있는지 동의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개인의 기호에 맞게 선택하고 넘어가면 됩니다.

이렇게 설정만 맞침으로써 Yoast SEO 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자동으로 설정해줍니다: 

  1. XML Sitemap 을 생성하여 구글이 Website 를 이해 및 파악, Crawl 하기 쉽게 함
  2. Robot.txt 파일의 생성
  3. 기본적인 Schema 설정

여기까지 했다면, Yoast SEO -> Settings에서 General 은 다 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Content types 로 넘어갑니다.

위에서, Search appearance 의 설정에서는
Posts, Pages, Landing pages, Products 등 페이지 종류별로,
검색 결과에 나오게 할지, 검색결과에서 숨길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검색결과에 보일지, 숨길지 설정 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Page 는 기본적으로는, 검색결과에서 숨기는 것으로 해놓았습니다.

그 밑에 Categories & Tags 를 가보면,
여기서도 역시 Categories page 나 Tags page를 검색엔진의 검색결과에,
보여줄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특별히 자신이 Tags 페이지나, Categories 페이지를 검색엔진 최적화로,
보여주려고 하지 않는 이상, 숨기는 옵션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보통은 Tags나 Categories 페이지 같은경우,
신경쓰지 않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괜히 검색결과에 나와서, 사람들이 들어왔다가,
웹사이트 자체가 정돈되어 있지 않다는 인식을 줄 수 있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 Advanced 쪽은 되도록이면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두는것이 안전합니다.

Yoast SEO의 SEO 글쓰기에 유용한 기능

위에서 Yoast SEO 의 테크니컬 검색엔진 최적화 (Technical SEO) 설정을 알아보았으니,
실제 SEO 글쓰기에 유용한 기능을 살펴보죠.

블로그 포스트를 쓰는 화면에서, 오른쪽 위에 Yoast SEO 버튼이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에 옵션이 뜨게 됩니다.

Yoast SEO의 검색엔진 최적화 분석
Yoast SEO의 검색엔진 최적화 분석

집중 키워드 (Focus Keyword)

집중 키워드 (Focus Keyword)는 타겟 키워드 (Target keyword) 라고 보면 됩니다.
즉, 이 페이지나 블로그 포스트로, 어떤 키워드를 노려서,
검색엔진 최적화를 할 것인가를 말합니다.
키워드 분석의 경우, 이미 구글 SEO 키워드 분석 글에서 자세히 다루었으니,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여기에 집중 키워드 (Focus Keyword)를 넣으면, Yoast SEO 가,
아래와 같은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 집중 키워드 빈도수
  • 집중 키워드 분포 정도
  • 이미지 이름과 Alt text에 키워드 분포 정도
  • 집중 키워드가 페이지 주소에 있는지 여부
  • 집중 키워드가 제목에 있는지 여부
  • 집중 키워드가 소제목 (H2, H3 등) 에 있는지 여부

이런 요소들은, 반드시 검색엔진 최적화 (SEO)를 위해 무조건적으로 해야하는 것은 아니나, 

하나의 체크리스트 처럼 생각하고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검색엔진 최적화 요소 (SEO) 분석

위에 언급한 집중 키워드 (Focus Keyword) 말고도,
Yoast SEO는 다음과 같은 검색엔진 최적화 (SEO)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 외부 링킹 (Outbound link)
  • 내부 링킹 (Internal link)
  •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
  • 전체 콘텐츠의 길이 (글자 수)
  • 전반적 문장 길이
  • 전반적 소제목의 활용
  • 전반적 단락의 길이

Google 검색결과 미리보기 (Google preview)

검색엔진 최적화 (SEO)에서 클릭률 (CTR)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클릭률 (CTR)을 올리기 위해서는,
제목과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 이 중요하게 되는데,
Yoast SEO는 이 두가지가 실제 검색결과에서 어떻게 보일지 미리 보여줍니다. 

클릭률 (CTR)을 높이는 제목과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을
고민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Yoast SEO Google preview

소셜미디어 공유 미리보기 (Social preview)

소셜미디어 공유 미리보기는 페이스북 (Faceboook) 과 트위터 (Twitter) 에,
해당 페이지를 공유했을때, 미리보기를 어떻게 보여줄지,
설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Yoast SEO의 Social 미리보기
Yoast SEO의 Social 미리보기

Yoast SEO의 Schema 설정

스키마 (Schema) 는 검색엔진이 콘텐츠 (Content) 이 어떤종류인지,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또 키워드의 검색 의도에 맞는,
콘텐츠 (Content)를 검색결과에 보여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처음 설정에서 바꾸지 않았다면, 기본적으로는
Web page / Article 로 되어있으며,
콘텐츠의 성격에 맞게 아래 그림과 같이 옵션에서 바꿀 수 있습니다.

Yoast SEO의 Schema 설정
Yoast SEO의 Schema 설정

Yoast SEO의 고급(Advanced) 설정

Advanced 옵션에서는,
해당 페이지를 검색엔진 결과에 보여줄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 그 밑에는, 3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1. 메타 로봇 고급 (Meta robots advanced) 설정

메타 로봇 고급 (Meta robots advanced) 설정에서는,
이 웹페이지 전체가 아니라, 특정 요소에서 Index 되지 않도록 하는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No image index: 이 부분은, 검색 결과에서 이 페이지에 있는 이미지가 Index 되지 않도록 하여, 이미지 검색결과에 나오지 않게 합니다.
– No Archive: 이 설정은, 이 페이지에 Cache 된 복사본을 검색결과에 보여주지 않도록 합니다.
– No snippet: 이 설정은, 구글 스니펫에 이 페이지가 나오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 설정은, 바꾸지 않고 그대로 두는것을 추천합니다.

Yoast SEO 설정- Meta robots advanced
Yoast SEO 설정- Meta robots advanced

2. 브레드크럼즈 타이틀 (Breadcrumbs title)

브레드크럼즈 타이틀 (Breadcrumbs title)은,
이 웹페이지 또는 블로그 포스트가, 어디에 속해있으며,
상위 페이지가 무엇인지 보여줍니다.

이 브레드크럼즈 타이틀 (Breadcrumbs title)은 기본적으로,
블로그 포스트 제목이나 웹페이지 제목으로 나오지만, 이를 개별적으로
해당 옵션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3. 캐노니컬 URL (Canonical URL)

캐노니컬 URL (Canonical URL)이란,
비슷한 컨텐츠가 있는 페이지들이 있으면,
원래 오리지널 컨텐츠가 어느 페이지에 있는지 제시하는 URL입니다.
기본적으로 Yoast SEO는 웹페이지나 블로그 포스트를 생성할 때마다
고유의 캐노니컬 URL (Canonical URL)을 자동으로 설정해 줍니다.

하지만, 만약 현재 보고 있는 페이지가, 어떤 오리지널 페이지의 비슷한 내용의 컨텐츠이고,
오리지널 페이지는 따로 있다면, 캐노니컬 URL (Canonical URL)를 여기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을 해주면, 같은 타겟 키워드 (Target keyword) 를 갖고,
자신의 여러개 컨텐츠가 경쟁하는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캐노니컬 URL (Canonical URL)을 갖고 있는 컨텐츠에 검색엔진 최적화 (SEO) 권한을
몰아줄 수 있습니다.

Email 로 구독하기

Zade Media는
더 많은것을 이루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자기계발 정보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