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10/01/2023, 04:45 오후
워드프레스 SEO 최적화 란?
워드프레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만들때, 그 컨텐츠가 검색엔진에서 상위에 랭크되는것을 말한다.
특히, 구글 SEO를 신경쓰는 유저들이, 워드프레스 플랫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구글이 워드프레스 SEO 를 더 선호한다는 것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워드프레스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좋다고 하고, 워드프레스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좋은게 없다는 식으로 얘기한다.
결론만 얘기하면, 워드프레스라고 구글이 더 상위랭킹을 시켜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점은, 워드프레스는 SEO (검색엔진 최적화) 를 도와주는 플러그인과 기능이 가장 쉽도록 되어있다.
‘쉽도록 되어있다’ 는 말은, 검색엔진 최적화 (SEO) 를 할 때, 코딩을 전혀 할 줄 몰라도,
그 부분을 해결해주는 워드프레스 SEO 플러그인이 있고, 그래서 다른 플랫폼 보다 SEO 에 직접적이 아닌, 간접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는 말이된다.
그럼 워드프레스 SEO 최적화에 필요한 것들은 뭘까?
이번 글에서는, 워드프레스 SEO 최적화 설정에 대해서 알아본다.
만약 비디오를 선호한다면, 아래 비디오를 참고하면 된다.
글 목차
워드프레스 SEO플러그인의 활용
다양한 웹사이트 및 블로그 플랫폼이 있지만,
워드프레스의 장점 중 하나는 Open source 플랫폼으로, 전세계의 개발자들이 만든
수많은 기능을 가진 플러그인을 기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검색엔진 최적화 (SEO) 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플러그인들이 많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워드프레스가 다른 플랫폼들보다 검색엔진 최적화에 유리한 점이 많다.
가장 대표적인 검색엔진 최적화 (SEO) 플러그인은 아래와 같다:
- Yoast SEO
- All in One SEO
- Rank Math
세가지 플러그인 모두 다 좋은 기능들이 많다.
만약 무료로 기능을 이용해보고 싶다면, Yoast SEO를 추천한다.
XML sitemap (사이트맵) 의 등록 [Yoast 플러그인 활용]
워드프레스 SEO 최적화를 위해서는 Yoast seo 사용법을 반드시 익혀야 한다.
Yoast 플러그인은 기본적으로 사이트맵을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이를 확실히 Google search console (구글 서치 콘솔) 에 등록해 주는 것이 마음이 편하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
Yoast 플러그인에서 General -> Features 로 간다.
아래 그림과 같이 XML sitemaps 가 있을 것이다.
물음표 (?) 를 누르면 “See the XML sitemap” 이 보일것이다. 누른다.
그러면 사이트맵 주소를 볼 수 있다.
이를 복사하여 Google Search console (구글 서치 콘솔) 로 간다.
왼쪽 매뉴에 Sitemaps 를 누른다.
위와 같이, 주소에 Sitemap 주소를 넣고 등록하면 된다.
SSL 과 HTTPS의 사용
SSL 보증 (Certificate) 이란, 웹사이트의 신분을 보장하고, 암호화된 연결을 보증한다.
즉 웹 서버와 (Web server)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간의 암호화된 연결을 해주고 있다는 보증이다.
SSL 보증을 적용하면, HTTP 대신 HTTPS 로 URL 이 시작하게 된다.
당신이 검색엔진 최적화 (SEO)를 제대로 하고싶다면, SSL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구글은 HTTPS 를 검색엔진 최적화 (SEO)의 요소라고 직접 언급했다.
요즘의 대부분 호스팅 서비스는 SSL을 무료로 제공한다.
하지만 만약에 당신의 웹사이트가 HTTP로 URL 이 시작하고 있다면,
이것을 해결하는 간단한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은 Realy Simple SSL 플러그인이다.
간단한 설치만으로도 SSL 보증을 할 수 있다.
No indexing [Yoast 플러그인 활용]
Yoast 플러그인은 불필요한 페이지들이 구글이 인덱스 되지 않도록 쉽기 설정하게 해준다.
구글 검색결과 페이지에 나올 필요가 없는 불필요한 페이지들은 인덱스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이런 페이지들은 예를 들면, 블로그 카테고리 페이지, 블로그 태그 페이지, Contact 페이지 등이 있다.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
Yoast 플러그인에서 :
Search Appearance -> Content types 로 간다.
여기서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에 나오지 않아도 될 컨텐츠들을 Noindex 해준다.
참고로, 어떻게든 하나라도 건지자는 마음으로 모든 것을 검색페이지에 나타나게 하는것은 오히려 SEO 에 안좋은 효과를 준다.
페이지는 많은데, 상위 검색결과로 나오는게 하나도 없다면, 구글은 오히려 그 웹사이트를 쓸모없는 웹사이트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반드시 검색결과 페이지에 나오기 위해 준비된 컨텐츠만 보여주면 된다.
나의 경우는 Post (글) 만 나오게 설정해 두었다.
아래와 같이 심지어, 일반 페이지와 블로그 [블로그 포스트들이 모여있는 블로그 탭 자체] 조차도 나는 Noindex 하여 검색결과에 나오지 않도록 해두었다.
만약 기본적으로 Noindex 한 컨텐츠 중 예외로 index 하고 싶다면, 컨텐츠 작성 시 아래로 내려가서, 그 컨텐츠만 index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아래를 참고하라 :
SEO 에 맞는 제목과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 작성하기
SEO 에서는 기본적으로 목표하는 키워드를 제목에 넣는것이 좋다.
물론 이제는 구글 알고리즘이 발달해서, 반드시 키워드가 정확히 없어도 랭킹이 가능하다.
구글이 단순히 키워드만 읽는것이 아니라, 내용을 파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히 그 ‘키워드’ 가 안들어가도, 연관키워드나 관련키워드가 들어가도 된다.
따라서, 제목에 최소 목표하는 키워드나, 관련, 연관키워드가 있는것이 훨씬 도움된다.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 은 경우가 약간 다르다.
구글은 공식적으로,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 를 랭킹요소에 넣지 않는다고 했다.
하지만 여기서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이 중요해 지는 이유는, CTR (Click-Through-Rate) 때문이다.
CTR 이란 클릭을 하는 비율이다.
즉, 당신의 글이 검색결과에 나왔는데, 사람들이 얼마나 클릭하는가가 중요하다.
이 CTR 은 직접적인 구글 SEO 의 요소이다.
여기서 CTR (Click-Through-Rate) 을 높이는데에 변수는 딱 2가지다.
제목, 그리고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이다.
왜냐하면 검색결과에 그 두가지만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이 중요하게 된다.
영화의 미리보기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미리보기가 재미가 없으면, 사람들이 영화를 보러 가지 않을 것이다.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 을 작성할 때, 사람들이 이 글을 읽음으로써, 어떤것을 얻을 수 있는지 설명하라.
그리고 최대한 호기심을 자아내어 클릭을 이끄는 것이 좋다.
헤더 (Header) 태그의 적절한 사용
당신이 검색엔진 최적화 (SEO) 를 위해 작성하는 컨텐츠는 비디오나 소리가 아니라, 결국 글이다.
즉, 잘 구조화된 글은 이해하기도 쉬우며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원하는 정보를 찾기도 쉽게한다.
또한, 구글이나 다른 검색엔진이 당신의 컨텐츠를 이해하기 쉽도록 도와준다.
이런 잘 구조화된 글을 위해서는, 적절한 헤더 (Header)택을 사용하는것이 중요하다.
헤더 택이란 제목, 소제목이라고 보면된다.
하나의 주제에 대해 글을 쓸때, 전체 주제가 H1 (헤더 1)이 되며, 그 속에
여러가지 소제목을 H2, H3 등의 헤더를 사용하여 구조화 한다.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워드프레스에서 헤더태그를 설정하는 법은 아래 그림과 같다.
또는 기본 워드프레스 글쓰기가 아닌, 엘레멘터 (Elementor)등을 쓴다면 조금 다를 수는 있으나,
마이크로 소프트 워드나, 구글 닥스와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주기적인 컨텐츠의 업데이트
예를들어 당신이 “2023년 나이키 운동화 추천 10가지” 라는 글을 썼다고 가정해보자.
좋은 컨텐츠와 검색엔진 최적화 (SEO) 로 구글 상위 랭크를 했다고 하더라도
2024년, 2025년이 지났는데도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면,
자연스레 나중엔 랭킹이 떨어질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컨텐츠 업데이트가 중요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꿔야 하는 정보 및 글을 계속 업데이트 해주자.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의 사용
주기적으로 컨텐츠 업데이트를 한다면 그 날짜를 보여주는것이 좋다.
처음 작성한지 몇년 지났지만, 계속 업데이트를 하고 있는데,
방문자들이 처음 작성된 날짜만 보고, 오래되어 관련없는 정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글은, 맨 처음 작성된 날짜와, 엄데이트된 날짜 두가지를 다 볼 수 있으며,
구글이 판단하여 검색결과에 두 날짜중 한가지를 보여주게 된다.
이를 위해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WP Last Modified Info 의 사용을 추천한다.
설치하고 활성화 하면, 당신이 작성한 모든 블로그 포스트에, 손쉽게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를 나오게 할 수 있다.
이럴때 가장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이 WPCode이다.
무료로 간단하게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플러그인에서 WPcode를 검색해서 설치한다.
설치가 끝나고 왼쪽 메뉴에서 Code Snippets -> Code Snippets로 간다.
All snippet 옆에 있는 “Add New”버튼을 누른다.
검색 부분에 “Display” 를 검색하면, “Display the last Updated date&time” 스니펫을 볼 수 있다.
Code Preview 창에서 몇가지 수정을 해주면 좋다.
첫번째 화살표 부분에, “m/d/y” 로 수정을 하면, “1/1/2023” 과 같은 날짜의 형태로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를 보여준다.
또한 두번째 화살표 부분에는, 한글로 블로그를 한다면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등의 한글을 써두면,
한국 방문자들이 이해하기 쉽다.
기본적인 블로그 포스트 (post) 주소 설정 [Yoast 플러그인 활용]
블로그 포스트의 주소는 검색엔진 최적화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주소 2개를 비교해 보자.
https://abouthappyincome.com/?p=2869
https://abouthappyincome.com/블로그검색엔진최적화
둘다 같은 블로그 포스트로 가지만 주소의 생김새가 다르다.
즉 두번째 URL 의경우 사람들이 읽을 수 있고, 또 주제를 어느정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CTR 을 높이는데 훨씬 유리하다.
기본 URL 설정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
설정 (setting) -> 고유주소 (Permalink)
에서 글 이름 (Post name) 을 선택한다.
글 이름 (Post name) 이 가장 주제를 잘 나타내 주며, 사람들로 하여금 이 글이 어떤 내용일지 잘 알려줄 수 있는 주소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현재 이미 작성한 블로그 포스트의 주소를 바꾸지 않는것이 좋다.
만약 그 블로그 포스트들 중, 구글에 랭킹하고 있는 글이 있을 경우, 주소를 바꾸면 SEO 점수에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대신 다음 단계에 나오는 Redirection 을 이용하면 된다.
Redirection 플러그인 활용
만약 링크들 중에, 주소가 바뀌거나, 웹페이지가 없어져서 Redirect 가 되지 않고, 404 error 가 나온다면 SEO 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다음 아래의 이야기를 보자 :
예전에 나의 글을 퍼간 네이버 블로거 분이 계셨다.
링크를 걸어 주셨는데, 내가 없앤 블로그 포스트 페이지로 링크를 걸어 주셔서, 눌렀을 때,
404 Error message 가 뜨게 되었다.
이런 경우 Redirection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A 라는 주소를 입력 했을 때, B 라는 주소로 가도록 설정해 둘 수 있다.
아래의 예를 보자 :
Source URL : 사람들이 치는 주소를 넣는다.
Target URL : Source URL 을 입력했을 때, Redirect 할 목표 페이지 주소를 넣는다.
여기서 주의할점은, 오른쪽이 URL option / Regex 에서, Ignore Case 와 Ignore Slash 를 꼭 체크해준다.
이렇게 해두지 않으면 “/” 가 있는 주소를 다르게 인식한다.
아래의 예를 보자 :
– ABC.com/blog/
– ABC.com/blog
위의 두 주소는 사실상 같은 주소이다.
하지만 Ignore Slash 옵션을 체크해주지 않으면 다르게 인식하여, 제대로 Redirect 가 되지 않는다.
키워드의 분석 [Yoast 플러그인 활용]
키워드 분석은 이미 예전에 상세히 다루었다.
이번 글에서는 워드프레스의 SEO 에 도움되는 Yoast 플러그인이 제시하는 간단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첫번째 원칙은, 웹사이트에 있는 블로그 포스트들이, 같은 키워드를 목표로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Yoast 플러그인을 사용한다면, 블로그 포스트를 작성하고, 목표 키워드를 넣을 수 있다.
여기서 목표키워드를 넣어 두면, 미래에 만약 같은 목표 키워드로 쓴 글이 있으면, 경고를 미리 해준다.
같은 목표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좋은 이유는, 자신의 블로그 포스트들 끼리 구글 첫페이지에 나오기 위해 경쟁을 하기 때문이다.
Yoast 플러그인에서는 Focus Keyphrase 가 목표 키워드가 된다 :
– Focus Keyphrase 를 입력했다면, Yoast 플러그인이 자동으로 글을 분석한다.
그 후, 수정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해 준다.
기본적인 영어지만, 만약 읽기가 힘들 경우, 구글 번역기를 사용하면 된다.
클릭을 부르는 제목을 사용 [호기심의 갭의 활용]
제목은 글의 내용 다음으로 SEO 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물론 구글이 제목을 내용파악의 큰 무게를 두는 것도 있다.
하지만, 더 중요한것은 사람들이 제목을 보고 그 글을 클릭해서 볼지 말지 결정한다는 것이다.
즉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제목이 사람들의 클릭을 끌지 못하면, 그 글인 읽히지 못한다.
클릭하는 비율 즉, CTR (Click-Through-Rate) 은 구글 SEO 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럼 어떻게 사람들의 클릭을 끄는 제목을 지을 수 있을까?
호기심의 갭 (Curiosity Gap) 을 활용하여 제목을 지어야 한다.
내가 만든 클릭을 부르는 제목 40가지 를 참고하라.
이미지 대체 텍스트 (Alt text) 설정
블로거라면 반드시 글자 뿐 아니라 미디어 (이미지, 비디오, 인포그래픽 등) 을 사용해야 한다.
실제 통계적으로도, 미디어가 있는 블로그 포스트는, 글자만 있는 블로그 포스트보다 Session duration (체류시간) 이 훨씬 높고, 이탈율 (Bounce rate) 이 낮아서, 구글 SEO 에 유리한 점이 있다.
특히, 이미지를 사용할 때는 이미지 대체 텍스트 (Alt text) 를 꼭 사용해야 한다.
이유는, 이 이미지 대체 텍스트 (Alt text) 가 관련된 키워드로 구글 이미지 검색결과에 나올 확률을 높여준다.
또, 시각이 불편한 분들이 웹페이지를 보실 때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이,
이 이미지 대체 텍스트 (Alt text) 를 읽어서, 사용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설정하는 법은 간단하다. 이미지를 넣고, 설정을 눌러서 이미지 대체 텍스트 (Alt text) 부분에, 이 이미지가 어떤 내용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 넣으면 된다.
내부링킹 (Interlinking )
SEO (검색엔진 최적화) 에 있어서 내부링킹과 외부링킹은 중요하다.
내부 링킹은 당신의 블로그 포스트끼리 링크를 해두는 것이다. 내부링킹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 사람들이 여러개의 포스트를 볼 확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Bounce rate (이탈률) 이 줄어든다.
– 따라서, Session duration (체류시간) 이 늘어난다.
– 여러개의 글 중, 구글 SEO 랭킹을 밀어주고 싶은 글에 링크를 많이 걸어두면, 그 글의 PA (Page authority) 가 올라가서, 구글 랭킹에 유리하다.
외부링킹 (External linking)
외부링킹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 사용자에게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외부 링킹 한 페이지가 관련된 정보 페이지라면, 구글이 SEO 점수에 플러스 점수를 줄 수 있다.
내부링킹이건, 외부링킹이건 간에 주의해야 할 점은, 반드시 새 탭에서 링크 페이지를 열도록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
관련 블로그 포스트 기능 (Related posts)
관련 블로그 포스트 기능이란 뭔가?
블로그 포스트 맨 밑이나, 또는 옆 사이드 바 (Side bar) 에, 현재 사용자가 읽고 있는 블로그 포스트와 관련된 다른 포스트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럼 이게 왜 중요할까?
관련 블로그 포스트 기능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
– 이탈율 (Bounce rate) 을 줄여준다.
사용자가 지금 읽는 글만 읽고, 나가지 않고, 자연스럽게 다른 블로그 포스트를 읽도록 해준다.
– 체류시간 (Session duration) 을 늘려준다.
여러개의 글을 읽을 확률을 높여주니, 자연스럽게 Session duration (체류시간) 을 늘려준다.
– 브랜딩을 도와준다.
방문자가 당신의 컨텐츠를 많이 볼 수록, 당신의 브랜딩에 도움이 된다.
브랜딩이란, 당신이 물건을 판매하건, 서비스를 판매하건, 아니면 취미로 하건 간에,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제대로 전달된다는 것이다.
그럼 어떤 플러그인을 사용해야 할까?
만약 당신이 Elementor (엘레멘터) 페이지 빌더를 사용한다면 간단하게 아래 처럼 설정할 수 있다 :
Elementor (엘레멘터) 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아래의 두가지 플러그인을 추천한다 :
– Custom sidebar plugin
– Q2W3 Fixed widget Plugin
웹사이트와 블로그의 정리된 구조
깔끔하게 정리된 웹사이트나 블로그의 구조는 방문자로 하여금,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도록 한다.
직접적인 검색엔진 최적화 (SEO) 요소는 아닐지라도,
방문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수록, 이탈률을 줄이고 체류시간이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검색엔진 최적화 (SEO) 에 도움이 된다.
깔끔하고 정리된 구조를 위해서는 메뉴를 정리하는것이 좋다.
메뉴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디자인->메뉴 로 가서, 상위메뉴와 각각 상위메뉴에 맞는 하위메뉴를 정리하면된다.
Theme (테마) 의 선택
Theme (테마) 는 워드프레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Theme (테마) 의 선택에 따라 당신의 웹사이트는 완전히 다른 웹사이트로 변신할 수 있다.
또, 당신의 웹사이트는 엄청 느려질 수 도 있고, 빨라질 수도 있다.
테마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은 다음과 같다 :
– 테마를 사용했을 때 웹사이트 속도
– 테마가 가능하게 해주는 웹사이트 기능
– 가능한 Customization 의 정도
– 안정성 및 다른 플러그인들 과의 호환성
현재 워드프레스 의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Theme (테마) 중 하나는 Generatepress 이다.
CDN
CDN 이란 Content Delivery Network 을 뜻한다.
웹사이트에 있는 이미지파일 들을, 전세계에 퍼져있는 데이터센터에 옮겨서, 빠르게 로드 (load) 할 수 있는 기능이다.
사용하면 컨텐츠 미디어 파일들의 로드 (Load) 가 빨라져서, 웹사이트 속도가 빨라진다.
웹사이트 속도는 현재 구글 SEO 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웹사이트 속도가 느리면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에서 안좋은 점수를 받아, 랭킹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여기서 워드프레스의 장점이 들어난다.
다른 플랫폼은 보통 속도를 사용자가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한정되어 있다.
그냥 플랫폼이 주는 속도에 맡겨야 되는 경우가 많다.
워드프레스는 사용자가 얼마든지 속도를 바꿀 수 있다.
워드프레스가 느리다고 말하는 사람은, 자신이 웹사이트 속도를 향상시킬 지식이 없다고 말하는 것 과 같다.
가장 효과적이며, 설치가 간단한 CDN 에는 Cloud image 가 있다.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License number 만 넣으면, 자동으로 웹사이트에 있는 미디어들의 사이즈를 조절하고, 데이터 센터로 옮겨 놓는다.
Content caching
Content Caching 이란, 웹사이트 방문자가 매번 방문할 때 마다, 페이지를 새로 로드 (load) 할 필요 없이, 이미 저장된 버전의 페이지를 (cached), 로드 (load) 할 수 있도록 하여, 웹사이트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
- WordPress.com 활용
WordPress.com 에 웹사이트를 운용하는 사람이라면, WordPress.com이 자동으로 Cache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신경쓸 필요가 없다. - W3 total cache
따로 Hosting 을 사용하는 WordPress.org 사용자라면, W3 total cache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Cach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WordPress.com 활용
결론 :
앞서 말했듯, 구글이 무조건 워드프레스를 선호하여 검색엔진 최적화에 플러스 점수를 주는것이 아니다.
다만 이번 글에서 소개한 이런 기능들이, 다른 플랫폼에서 하기가 더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워드프레스가 SEO 최적화에 쉽다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워드프레스를 사용한다고 검색엔진최적화에 성공하는 것이 아니니, 워드프레스에서 할 수 있는 기능들을 적극 활용하자.
yoast 무료 버전에서도 위 설정이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