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검색에서 상위랭크를 하고싶다면 이탈률(Bounce rate) 을 무시할 수 없다.
뭐 이탈률이라는 말이 딱 들어도 방문자들이 나간다는 말이긴 한데, 정확한 뜻은 뭘까?
그리고 이탈율을 낮추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될까?
바로 알아보자.
글 목차
이탈률 (Bounce rate) 의 뜻
당신의 웹사이트를 방문한 방문자 중, 한 페이지만 보고 바로 나가는 비율을 말한다.
즉 전체 방문자 중에, 한페이지만 보고 당신의 웹사이트를 이탈한 방문자의 비율이다.
그럼 이탈률 (Bounce rate)은 SEO 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이탈률 (Bounce rate)이 높아지면, SEO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웹사이트에 오래 머물지 않았을 뿐더러 (체류시간- Session duration), 여러 페이지를 보지 않고, 한 페이지만 보고 나갔기 때문에,
웹사이트에 있는 콘텐츠의 가치가 크지 않다고 판단하게 된다.
그럼 이탈률은 어떻게 낮출 수 있나?
이렇게 이탈률이 SEO 에 중요한것을 알았으니, 이제 어떻게 낮출 수 있는지 알아보자.
1. 틈새 주제를 선택하고, 그 주제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한다.
Blog 나 youtube 을 할 때 최대한 많은 방문자를 끌기 위해서 이것저것 다양한 주제로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틈새 주제 그리고 그 주제를 일관되게 다루는 것 보다 Bounce rate 이 높아질 수 있다. 왜냐하면 A 라는 주제와 전혀 관련없는 B 라는 주제 그리고 C 라는 주제를 다룬다면 A 라는 Topic 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B 나 C 의 post 를 보면 뒤로가기를 눌러서 구글로 돌아가거나 X 를 눌러 나갈 것이다. 즉 Bounce rate 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특히 아직 엄청난 방문자수가 아닌 경우, 좁은 틈새 주제를 선택하고, 일관되게 그 주제에 관련하여 블로그나 유튜브를 진행한다.
이를 위한 몇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카테고리 (Categories)를 활용한다.
블로그 자체 콘텐츠가 크게 몇가지로 나눠진다면, 카테고리 (Categories)를 활용하고, 그 카테고리 탭을 만든다.
방문자들이 관심있는 카테고리 글만 정렬하여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글을 보고, 다음 관련된 글을 보기가 쉬워진다.
- 연관 포스트 (Related posts) 를 활용한다.
모든 블로그 포스트에 그 내용과 연관된 다른 블로그 포스트를 바로 클릭하여 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블로그 포스트 마지막 부분에는, 연관 포스트를 넣어, 방문자들이 글을 읽고 나가지 않고, 다른 글을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이 역시 이탈률 (Bounce rate) 을 낮춰준다.
2. 빠른 웹사이트 속도 (Website speed) 를 확보한다
Website 속도가 느릴 경우 이용자가 블로그를 보다가 나가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즉 이탈율 (Bounce rate) 이 올라간다.
웹사이트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아래 2가지 웹사이트에서 본인의 웹사이트 주소를 넣어본다: go
– https://gtmetrix.com/
– https://pagespeed.web.dev/
웹사이트 속도가 높아지면 Google 상위 rank 에도 당연히 도움이 된다.
웹사이트의 속도는 구글 SEO 의 요소중 하나이다.
또한, CDN 을 이용하여 Website speed 향상을 고려한다.
CDN 이란 Content Delivery Network 인데, 방문자가 방문했을때, 이미지나 미디어 파일등을 전세계에 있는 데이터센터에서 가져오게 한다.
결과적으로 우리 웹사이트 로딩속도가 올라간다.
속도가 올라가면 로딩이 늦어서 그냥 나가는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탈율 (Bounce rate) 이 줄어든다.
3. Infographic, images, Video 의 활용한다.
Blog 라고 하면 보통 사람들이 글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글만 많을 경우 사람들이 글이 길어지면 다 읽지 않고 나가는 경우가 많다.
즉, image 나 infographic, 그리고 video 등을 이용하면 사람들의 흥미를 계속 잡아둘 수 있고, 또 내용전달도 쉬어진다. 결론적으로 사람들이 website 에서 금방 나가는 경우가 적어지고, Bounce rate 을 줄일 수 있다.
4. 방문자들이 보러 온 내용을 바로 전달한다.
제목이나 메타디스크립션을 보고 들어왔다가, 원했던 내용이 아니라서 방문자가 떠날 수 있다.
또는 그 내용을 썼더라도, 초반 글에서 핵심없는 내용이 길어질 경우, 사람들이 나갈 수 있다.
물론 글 자체가 흐름과 기승전결이 있는건 좋지만, 최대한 빨리 가치있는 내용을 전달하도록 한다.
5. 모바일 친화적인 웹사이트
모든 인터넷 검색의 절반 이상이 모바일 기기에서 이뤄지고 있다.
즉 당신의 블로그나 웹사이트가 컴퓨터에서는 이쁘게 보이더라도, 모바일 기기에서 제대로 보이지 않거나,
여러 요소들이 깨져 보인다면 사람들이 그냥 나갈 확률이 높아진다.
지금 시대에 모바일 친화적인 웹사이트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6. 내부링킹 (Internal linking) 을 잘 활용한다.
내부링킹 (Internal linking)의 경우 이탈률 (Bounce rate)을 줄여주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글 속에서 어떤 내용을 다루다가 그 내용에 대해 더 깊게 얘기하는 글이 있을시, 반드시 내부링킹으로 연결을 해준다.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링크로 표시되어있는 단어나 문장을 클릭할 확률이 높다.
그렇게 되면 한페이지 이상을 본 것이 되기 때문에, 이탈율이 줄어들고, 또 다른 글을 읽을 확률이 높아 체류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결론적으로는 SEO에 도움이 된다.
7. 사람들이 왜 나가는지 직접 살펴본다.
간단한 방법은 비디오 세션 (Video session) 활용법이다.
비디오 세션 (Video session)은 방문자들이 실제로 본인 웹사이트에 들어와 어떻게 콘텐츠를 보고,
어느 페이지를 가서 나가게되는지 녹화를 하여 볼 수 있는 기능이다.
가장 유용한 툴 중 하나는 Plerdy 이다.
실제로 방문자들이 어떻게 블로그 글을 읽는지 녹화된 비디오를 볼 수 있다.
이런 비디오를 참고해서,
혹시 기능을 하지 않는 링크가 있다던지, 방문자로 하여금 나가게 하는 요소가 있다면 제거해준다.